감자 다이어트
안녕하세요. 자신있는 여성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Gil 입니다. 요즘 외국에서는 한창 원푸드 다이어트라고 해서 한 음식만 먹으면서 다이어트 하는게 유행이라고 합니다. 그래서 저도 한번 원푸드 다이어트에 대해 찾아보고 공부해보고 있는데요. 그 중에 원푸드 다이어트의 대표적인 감자를 예를 들어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. 그럼 한번 알아볼까요?
Gil's Fitness::감자 다이어트에 대해 알아봅시다.
여러분들께서 알고계시는 감자에 대해서는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는데, 어떻게 감자만 먹고 살이 빠질 수 있을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. 감자 다이어트로 살을 빼고 계신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.
오늘 한 예로 들 분은 Andrew Taylor 라는 유명한 호주인인데요. 이 분은 6달동안 감자만 먹고 43kg를 뺐다고 합니다. 그러면서 매스컴을 타면서 엄청난 유명인이 되었는데요.
이 분의 얘기로는 감자만 먹는 식단이 다른 음식을 먹고싶은 중독에도 예방해주고, 살 빠지는데 엄청난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.
#1. 고탄수화물인 감자로 어떻게 살을 뺐을까요?
-여러분들이 알고있는 상식으로는 탄수화물 - 인슐린 - 비만 이렇게 이론화 되어있을 텐데요. 일부 다른 의견들이 학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습니다.
저탄수화물과 고단백식단만이 유일한 다이어트 방법은 아니며, 이렇게 고탄수화물만 먹는 다이어트 또한 하나의 살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있다고 합니다.
#2. 포만감의 효과
- 감자 다이어트에는 다른 음식과 다르게 감자를 한두개만 먹게되도, 상당히 배부른 포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 한 예를 들자면, 감자를 한달간 먹은 사람들은 배부름때문에, 다른 과자가 생각도 나지 않고, 배고픔을 쉽게 느끼지 못한다고 합니다.
여기서 불러오는 효과가 살을 빼는데 더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. 이 감자 다이어트를 통해 성공하신 분도 감자가 포만감을 주지 않았다면, 다른 음식을 많이 먹어 다이어트에 실패했을것 같다라고 인터뷰에도 말씀하셨습니다.
#3. 인슐린은 어떻게하나요?
- Andrew Taylor는 고도 비만으로 인해, 당뇨의 위험이 있었습니다. 하지만 감자 다이어트를 한 후에는 되려 인슐린 수치가 떨어졌습니다. 그 이유는 단순하게 음식을 덜 먹게되서 수치가 떨어졌다고 합니다. 현재 당뇨에 대한 어떤 문제도 없다고합니다.
여기에서는 감자 뿐만이 아니라, 계란만 먹는 다이어트를 하더라도 인슐린 수치는 떨어진다고 합니다. 그 이유는 단지 음식을 적게 먹기 때문이라고 합니다. 하지만 많은 분들이 오랜 기간동안 한 음식을 먹는것은 힘들다고 합니다. 먹는 재미도 떨어질 뿐만아니라, 음식이 질리기 때문이죠. 살빼기 위해 원푸드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은 운동도 함께 하시면서 목표치를 달성하시고, 다시 건강한 식습관으로 돌아오시면 좋겠습니다.
#4. 감자 다이어트 하는 방법
- 매일 감자를 물에 삶은 다음 끼니마다 2개씩 드시면 되겠습니다. 염분 섭취를 위한 약간의 소금간만 해주시고, 드실 때는 무지방 그릭 요거트와 함께 드시면 변비도 예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, 장 활동도 활발해져서, 더욱 좋은 다이어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 감자는 100g 당 75칼로리 밖에 들어있지 않아서, 중간중간 허기를 느낄 때에는 감자를 한, 두개씩 드셔주시면 되겠습니다.
다이어트는 최고의 성형입니다. 항상 여러분들을 응원하겠습니다.
원푸드 다이어트, 감자 다이어트, 다이어트, 다이어트 식단
'날씬해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말 푹 자고 싶을 때! 잠이 잘 오게 도와주는 음식 (0) | 2017.05.14 |
---|---|
요가의 효과, 좋은점과 요가에 대한 모든것의 일문일답 (0) | 2017.04.16 |
체지방 분해의 끝판왕, 헬스장 싸이클 운동법 (0) | 2017.03.19 |
훌라후프 운동효과, 지방 분해 제대로 하는방법 (0) | 2017.03.14 |
헬스장 운동순서, 한달 다이어트 방법 (0) | 2017.03.08 |
살빼는데 도움을 주는 음식 궁합+피해야 되는 궁합 (0) | 2017.03.05 |
따라하기 쉬운 1주일 다이어트 식단<5주차> (0) | 2017.03.04 |
10분이면 충분한 해독주스 만들기 (0) | 2017.02.28 |
댓글